얼마전까지 페이스북 페이지의 커버 사진에서 사용자의 행동을 요구하는 요청 (Calls-to-action(CTAs))은 페이스북 페이지 이용 약관
에서 금지를 하고 있었다.
그런데 현재 약관의 내용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이 CTAs에 대한 금지 항목들이 보이지 않는다.
III. 페이지 기능
…
B. 커버
모든 커버는 공개됩니다. 이는 회원님의 페이지를 방문하는 모든 사람들이 회원님의 커버를 볼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. 커버는 기만적, 호도적이거나 타인의 저작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. 사람들에게 회원님의 커버를 개인 타임라인으로 업로드하도록 권해서는 안 됩니다. 커버에 텍스트가 20% 이상인 이미지를 포함할 수 없습니다.
라고 되어 있다.
이전의 약관을 살펴 보면 CTAs 에 대한 금지 사항이 다음과 같이 언급이 되어 있었다.
…. 다음과 같은 내용은 포함할 수 없습니다.
-
“40% 할인” 또는 “socialmusic.com에서 다운로드하세요”와 같은 가격 또는 구매 정보
-
웹 주소, 이메일, 우편 주소, 회원님 페이지의 소개란에 나오는 기타 정보와 같은 연락처 정보
-
좋아요 또는 공유하기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나 기타 Facebook 사이트의 기능에 대한 언급
-
“지금 시작하세요” 또는 “친구들에게 알리세요” 등과 같이 어떤 행동을 유발하는 내용
이러한 내용은 3월 22일에 HubSpot.com의 볼로그에 포스팅된 Anum Hussain의
Facebook Updates Cover Photo Guidelines to Allow Calls-to-Action
글에 잘 나타나 있다.
현재 페이스북 페이지 약관에는 CTAs 금지 조항이 슬그머니 빠졌지만 , 아직까지 고객센터의 페이지 커버사진의 설명에는 여전히 CTAs 금지 조항이 나오고 있다. ( 내 페이지의 커버 사진은 어떻게 선택해야 하나요? 참조 )
사용자 입장에서는 사용약관을 믿어야 하는지 , 고객센터의 설명을 믿어야 할지 혼란스럽다. 그러나 페이스북이 계속 변화하고 있으며, 페이스북 페이지가 원칙적으로 비즈니스적 성격으로 만들어진 영역으로 페이지의 효용을 높이는 쪽으로 변화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. 즉 페이지의 커버 사진에서 CTAs를 허용하는 것이 트랜드에 맞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.
그간 페이스북은 예고 없이 기능을 업그레이드 해왔다. 이러한 약관의 변화는 그런 흐름의 하나로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.
최근 뉴스피드가 새롭게 변화하고 순차적으로 적용이 되고 있다. 이는 모바일 환경에서 비주얼을 강조하는 변화로 , 페이지 커버사진에서 CTAs를 허용하고 있는 것 역시 페이지의 비주얼한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생각할 수 있다. 고객센터의 설명 부분은 미처 이런 부분을 반영하지 못한 결과로 이전 것이 그대로 남아 있다고 볼 수 있다.
이러한 변화가 마케터들에게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? Anum Hussain의 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언급을 하고 있다.
- 더 많은 페이스북 리드(lead)를 만들어 낼 수 있게 되었다. ( 여기서 리드 (lead)는 익명의 웹사이트 방문자였다가 해당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접점에서 변환되는사람을 의미, 예를 들어 좋은 콘텐츠 대신에 개인의 연락처 정보를 주는 사람을 생각할 수 있음) 2012년까지 77%의 B2C기업과 43%의 B2B 기업이 고객들을 페이스북에서 확보했다. 고객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리드(lead)만들어야 하는데 , 이전의 페이스북에서는 신규 방문자나 잠재 고객을 끌어들이는 허브 역할을 하였으나 , 이들을 리드로 변환시키는 데 원활하지 못했다. 이제 커버사진에서 CTAs를 허용함으로써 커버사진 속에 전자 책, 쿠폰, 웹 세미나, 무료 선물, 응용 프로그램 및 같은과 같은 특정 이벤트에 대한 링크를 포함 할 수 있게 되었다. 결과적으로 더 많은 리드를 만들 수 있게 된 것이다.
- 페이스북 커버사진 효과를 더 잘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. bitly.com 이나 goo.gl 같은 축약 링크를 사용할 경우 그 링크를 사용하는 사람들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. 예를 들어 bitly.com 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토큰을 사용해서 커버사진을 통해 유입된 방문자, 리드, 고객 등의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. /?utm_medium=social&utm_source=facebook&utm_campaign=coverphoto
(자세한 토큰의 사용에 대해서는 campaign tracking tokens을 참고 ) - 고객들을 위해서 보다 많은 콘텐츠를 프로모션 할 수 있게 되었다. 브랜드가 아무리 좋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론칭한다해도 고객들이 이를 활용하거나 혜택을 받기가 쉽지 않았다. 이제는 커버사진에서 CTAs가 있는 해당 브랜드의 새로운 콘텐츠를 가지고 이를 해결 할 수 있다. 예를 들어 과자 공장에서 새로운 과자를 출시해서 고객들에게 무료 시식을 제공하고 싶다면 커버사진에 고객이 찾아올 수 있는 매장 위치나 등록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다. 목표로 하는 고객에 대한 프로모션을 더 활발하게 할 수 있게 된 것이다.
- 페이지 CTAs와 관련된 대화를 증진시킬 수 있게 되었다.
- 보다 많은 타임라인 사진 가치를 거두어들일 수 있다. 페이스 북 타임 라인에서 비디오나 상태변화보다 사진이 가장 높은 고객과의 인게이지먼트(Engagement)을 만들 수 있다. 특히 커버사진에 CTAs 이 있는 경우 페이스북 상에서 해당 브랜드와의 인게이지먼트를 높일 수 있다.
이상 HubSpot.com의 볼로그에 포스팅된 Anum Hussain의 글을 근간으로 변화된 커버사진의 CTAs 허용 정책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였다.
어쩌면 커버사진이 인텔리전트한 디지털 사인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. 한번 만들어 놓고 낡아 못 쓰게 될 때까지 만들어 놓고 변화가 없는 간판이 아니라 새로운 프로모션이나 켐페인, 이벤트 혹은 새로운 콘텐츠가 있을 때 잠재고객을 자신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상의 한 접점에 연결할 수 있는 강력한 관문(Gateway)이 생긴 것이다. 즉 고객을 따라다니며 자신을 알려야 하는 아웃바운드 마케팅에서 고객들이 스스로 찾아오게 되는 인바운드(Inbound Marketing)에 더욱 유리하게 되었다.
앞으로 CTAs가 허용된 페이지의 커버 사진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는 페이지 운영자의 고민과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.

HUBSPO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