페이스북코리아의 부사장이 조선일보 비즈와 인터뷰에서 ‘꽃집아재’의 사례를 언급하였다.

페이스북코리아 부사장의 조선비즈 인터뷰기사
“‘꽃집아재’라는 페이지를 운영하는 꽃배달업체 사장님은 하루에 2000원을 투자해 광고했는데 페이지 ‘팬’이 8000명으로 불어났다고 합니다. 요즘엔 손님 중 20~30%가 페이스북을 거쳐서 온다고 합니다.”
‘꽃집아재’는 정말 정석대로 열심히 노력해서 지금까지의 위치까지 만들어 왔다. ‘꽃집아재’ 페이지(https://www.facebook.com/ajeflower)를 보면 현재 팬이 8,283명이 넘고 이야기 하고 있는 사람들이 1,632명이나 된다. (2012. 2. 7. 기준 ) 결코 동네 꽃집에서 이루기가 쉽지 않은 수준이다.

꽃집아재 페이지
골목 상권의 소상공인인 ‘꽃집아재’의 페이스북 광고 사용 사례가 세계적인 성공 사례로 알려질 수 있을 것 같다. 적어도 페이스북코리아의 부사장이 조선일보 비즈와 인터뷰에서 언급을 했다는 사실은 국내에서 그만큼 인지도가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.
그러나 인터뷰 내용을 보면 페이스북 광고 때문에, 적은 돈으로 광고를 해서 큰 효과를 본 것으로 이야기가 되어있다.
정말 그럴까? 물론 효과가 있었을 것이다.
그러나 중요한 점이 간과 될 수 있다. 과연 페이스북 광고 때문인지 하루에도 몇 시간씩 매달려서 노력을 한 결과인지 …
혹시 이런 인터뷰가 소상공인들에게 (다른 노력 없이) 적은 돈으로 페이스북 광고를 하면 효과가 있다는 오해를 불러 일으키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된다.
좋은 효과를 보는 광고가 30%라면 그 뒤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열정과 땀으로 쌓여진 페이스북 운영 노력이 70% 숨겨져 있다.
이것은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.
꽃집아재 페이지는 2011년 5월말경에 오픈이 되었다.
그 이전에는 블로그 5년, 트위터 3년 이상을 운영 해왔고, 2010년 7월 페이스북 프로필을 오픈하고 꾸준히 사람들과 소통을 해왔다. 페이스북을 시작한지 약 2년 6개월, 페이지를 오픈한지 1년 8개월정도 지난 것이 현재의 모습이다. 하루 4~5시간 금쪽 같은 시간을 들여서 수년간 노력해 온 결과인 것이다.
어쩌면 우리는 자신도 모르게 페이스북이 돈을 버는데 이용(?) 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.
인터뷰 내용을 보면 적어도 올해의 페이스북의 방향이 모바일과 소상공인 쪽으로 폭을 넓혀가겠다는 것을 감지 할 수 있을 것 같다.
비록 그간의 노력에 대한 언급이 없어 아쉽기는 하나, ‘꽃집아재’로 보아서는 축하를 해야 할 일일 것이다.
조선일보에 이렇게 이름이 나고 더 많이 알려져 실제적인 효과가 크기를 바라게 된다. 이 기사 이전과 이후의 인사이트와 매출을 잘 비교 했다가 이런 언론 노출이 어떤 효과를 가져오는지 살펴 보는 것도 재미있는 사례가 될 것 같다. ^^
꽃집아재님 더욱 화이팅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🙂
네 정말 성실하게 열심히 페이스북과 다른 소셜미디어를 운영하고 게십니다.
이런 분이 분명히 잘 되시리라 생각합니다. 화이팅입니다. ^^